본문 바로가기

육아연구소

[육아연구소] 좀 느려도 괜찮아, 배변훈련 , 기저귀 떼는 시기, 방법

728x90
SMALL

 

 

 

우리 아이는 말도 좀 늦게 트인 편으로 36개월이 다 될때까지

문장으로 말을 하거나 하는일도 잘 못했었지만,

(그래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ㅜㅜ)

지금은 누구보다 수다쟁이에 말도 잘하지만, 예전에 말 못하던 그 때를 생각하면 

우리 아이가 좀 늦는 아이는 아닐까 고민도 많이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이는 완벽하지 않으면 시도조차 잘 안하려는 성향을 가진 것 같기도 하다.

지금은 한글도 읽고, abc알파벳도 읽고, 영어 단어도 알려주면 곧잘 외운다.

심지어는 자기전 읽어주는 책도 대본처럼 외운다.

기억력 또한 무슨일인지 유치원에서도 반 친구들 이름을 제일 먼저 다 외운 사람이 우리 아이라고 한다.

36개월 동안 스스로 도를 닦으며 원기옥을 모았던 걸까.. 

출처 : 핀터레스트

 

하지만 지금 직면한 또 하나의 문제,(어쩌면 문제가 아닌 엄마의 단순한 걱정일 뿐일수도 있다)

우리아이는 현재 44개월이지만 배변훈련이 잘 되지 않고 있다.

초반엔 사실 어른 될 때까지 기저귀하고 있을 것도 아닌데 천천히 적응하면서 떼게 하지 뭐. 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유치원에 다니다보니 이게 한편으로는 워킹맘으로써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는 동안 선생님에게 아이의 배변활동에 대한 부분을 맡길 수 밖에 없는데 이게 본의 아니게 민폐를 줄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반 친구들 중 유일하게 아직 똥 기저귀를 못 뗀 아이가 바로 우리 아이였다.

똥기저귀가 더 빨리 떼고 오히려 쉬야를 더 늦게 떼는 아가들이 더 많다고들 하는데 

그리고 낮기저귀는 금방 떼기도 하지만, 밤기저귀 떼는게 오래가는 아이들도 있다고 하는데

우리 아이는 쉬야는 완벽 마스터를 해서 밤에도 낮에도 이제 기저귀를 쓰지 않는다. 

하지만 낮 똥기저귀는 아직 진행중이다....

출처 : 핀터레스트

 

유치원에서 친구들과 노는 시간 혼자만의 은밀한 시간을 가지고 치워달란 말도 없이 팬티에 응가를 달고 다닌다고 한다.

요 몇주까지는 응가 마려울 때 곧잘 말해서 변기에서 성공한 적도 많았는데,

또 이번 주말에는 원래대로 돌아와 버렸다. 무슨일일까.

 

 

그래서 찾아 본 

 

유아 기저귀를 떼는 효율적인 방법 6가지.

 


1. 점진적인 접근

: 일반적으로 기저귀를 한 번에 떼기보다는 점진적인 접근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먼저 낮에는 기저귀를 벗기고 활동할 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해야한다.

  그리고 잠자리 시간에는 아직 기저귀를 사용하게 하고, 이후 점점 잠재적인 화장실 시간을 늘려나갑니다.

  →  점진적으로 접근은 하고있는중으로 ok

 

2. 예측 가능한 시간 활용

: 아이가 보통 배변을 하는 시간을 파악하고, 그 시간에 활동적으로 기저귀를 벗겨 화장실에 가도록 유도한다.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아이를 훈련시키면, 이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 이것도 하고 있는 중으로 pass

 

3. 양육 환경 준비

: 화장실에서 아이가 편안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양육 환경을 적절히 조성합니다. 예를 들어, 화장실 내에 어린이용 변기와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화장실에 가는 것이 재미있고 긍정적인 경험으로 여겨지도록 합니다.

→ 화장실에 유아변기도 뒀고, 변기시트도 두고 열심히 활용중인데... 아직 아이에겐 장난감 정도의 느낌인건가....

 

4. 흥미 유발

: 아이에게 화장실 사용이 재미있고 흥미로운 경험이 되도록 하기 위해 동화책이나 장난감을 이용하여 관련된 활동을 도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이가 화장실 사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 아이가 내적 흥 화장실 변기와 관련된 노래나 영상을 보여주면서 흥미는 유발하는데 딱 흥미에서 끝나는 듯..

     변기나 응가와 관련된 동화책을 좀 읽어줘봐야겠다. 메모 메모..

 

5. 인센티브 제공

: 아이가 화장실을 사용하거나 기저귀를 벗을 때마다 칭찬하고 보상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이다.

  아이가 원활하게 기저귀를 떼고 화장실을 사용할 때마다 작은 선물이나 칭찬을 통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 칭찬은 물론 아이가 좋아하는 사탕이나 과자로 보상을 주기도 하는데, 사탕을 받기위해 변기로 가서 응가를 했다고 말만 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ㅋㅋ

    

6. 인내심과 일관성

: 유아의 발달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저귀를 떼는 과정에는 인내심과 일관성이 필요하다. 때로는 아이가 시간을 거쳐 화장실 사용에 적응하도록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 이 부분이 제일 어려운 것 같다. 인내심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내가 어디를 놀러가거나 해도 일관성있게 아이를 지켜봐야하는데 매번 아이가 어떤 타이밍에 화장실에 가고싶은지 모르니 그 신호를 놓쳐서 속옷에 응가를 하도록 내가 방치해버린건가 싶기도 하고, ...

 

 

이러한 방법들은 유아의 발달 수준과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부모는 아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기저귀를 떼는 과정에서 아이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핀터레스트

 

 

유치원에서 응가를 속옷에 했다는 얘기를 주에 1번씩은 듣는데 참... 씁쓸하면서도

친구들이 응가 냄새나요~ 라는 얘기를 우리 아이한테 해서 아이가 상처받을까봐 걱정된다는 선생님의 말도

속상하기도 하고....

아니 밤 쉬야 기저귀는 가리면서 응가는 왜 못가리냐며 묻고싶지만 .... 삼켜야지... ㅜㅜ

 

우리아이는 한 고집하고 외골수적인 면이 있어서 한편으로는 알기 쉽기도 한데 한편으로는 일반적이진 않은거같아서

나중에 이 아이의 사회생활이 좀 걱정되기도 한다...(근데 내가 그랬어....)

 

아이와 하원하는 길에 아이에게 물었다.

 

나 : "친구들이 응가 냄새 난다고 말해서 속상했어?"

아이 : "쇽샹해"

(사실 속상한지 물어서 속상하다고 대답한거 같긴함)

나 : "그럼 다음번엔 변기에다 응가 잘 할 수 있어요?"

아이 : "녜!"

나 : "약속!"

아이 : (새끼손가락 걸면서)"약속~"

나 : "친구들이 응가 냄새 난다고 말했을 때 기분이 어땠어? 화났어? 부끄러웠어? 무슨 기분이 들었어?"

아이 : "기분이 없었어"

나 : "기분이 없는게 무슨 말이야?"

아이 : "기분이 없었어"

(결국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함)

 

기분이 없다는 게 무슨 뜻일까... 아무 아무 생각 안했다는 걸까? 기분이 별로였다는건가..

 

 

어쩐지 조금 속상하기도 한 밤이다..

 

출처 : 핀터레스트

ps. 이 업체는 디자인 일관성 있긴한데 좀 무섭.

     어린이 화장실 디자인도 귀엽넹.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