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이 코앞으로 다가온 36주 차, 이제는 출산 가방을 최종 점검해야 한다. 막상 진통이 시작되면 준비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미리 꼼꼼하게 챙겨두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필수 준비물을 정리하고, 효율적인 출산 가방 구성 팁도 함께 알아본다.
✅ 출산 가방은 언제 준비해야 할까?
보통 임신 34~36주 사이에 출산 가방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이 시기 이후에는 언제든지 출산이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챙겨두면 마음이 한결 편안해진다.
👩🍼 산모를 위한 필수 준비물
출산 후 병원에서 2~5일 정도 머물게 되므로, 필요한 물품을 최소한으로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1. 신분증 및 병원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 건강보험증
- 진료 기록지 & 출산 계획서 (필요 시)
- 입원 서류 및 보험 관련 서류
2. 산모복 및 개인 물품
- 수유 브라 & 수유 내의 (출산 후 바로 모유 수유 가능)
- 편한 앞여밈 잠옷 & 수면 양말
- 속옷 & 여분의 수건
- 세면도구 (치약, 칫솔, 세안용품, 로션, 립밤 등)
- 기초 화장품 (건조함 방지)
- 일회용 속옷 & 산모패드 (출산 후 출혈 대비)
- 슬리퍼 & 수면 안대 (병실에서 편안한 휴식 가능)
- 손목, 발목 보호대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조리원 퇴소 후에도 가급적 손목은 잘 안쓰는게 좋다..(경험자로서의 조언..)
3. 출산 후 회복 아이템
- 복대 또는 수술 후 보호대 (제왕절개 시 필수)
- 냉찜질팩 (부기 및 통증 완화)
- 변비약 또는 유산균 (출산 후 변비 예방 및 자연분만 후 응가싸려고 땀 뻘뻘 흘리며 고생하기도 한다...ㅜㅜ그 고통)
4. 기타 챙기면 좋은 물품
- 핸드폰 충전기 & 보조배터리
- 가벼운 간식 & 빨대 컵 (누워서 마시기 편리)
- 책, 태블릿 또는 이어폰 (대기 시간 활용 가능)
👶 신생아를 위한 필수 준비물
아이가 병원에서 퇴원할 때 필요한 물품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
1. 신생아 의류 및 용품
- 배냇저고리 2~3벌
- 손싸개 & 발싸개 (체온 유지 & 긁힘 방지)
- 신생아 모자 (체온 유지)
- 속싸개 & 겉싸개 (보온 및 감싸기 용) (계절에 따라 다름)
2. 기저귀 및 위생 용품
- 신생아용 기저귀 (소량, 병원에서도 제공 가능)
- 물티슈 (순한 성분)
- 신생아 로션 & 크림 (건조함 방지)(미리 많이 사둘 필요 전혀 없음, 아이 피부타입에 따라 안맞을 수도 있기때문에 사용 해보고 잘 맞으면 그때 추가로 구매하는걸 추천!)
- 탯줄 소독제 & 면봉 (필요 시 병원에서 안내)
3. 분유 및 수유 용품
- 젖병 & 젖병 세정제 (혼합 수유 시 필요)
- 수유쿠션 (편안한 자세 유지 가능)
4. 신생아 카시트 & 외출 준비물
- 신생아용 카시트 (퇴원 시 필수)
- 아기 담요 (보온용)
산후조리원에서 필요한 추가 준비물
조리원에서는 기본적인 물품을 제공하지만, 조리원마다 물품이 상이하고, 보통 조리원에 가는 기간은(산모마다 상이) 1주~3주까지도 가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필요한 물건을 챙기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까먹고 못챙긴 물품은 남편찬스를 통해 받으면 된다.
1. 산모 회복 & 건강 관리
- 편한 수유복 & 실내복 (조리원 제공 여부 확인 후 준비)
- 속옷 & 수유 브라 (여유 있게 준비)
- 복대 또는 거들 (출산 후 배 수축 관리용)
- 좌욕기 (조리원에서 제공되지 않는 경우 개인 준비)
- 손 마사지기 또는 테니스공 (어깨 결림 완화)
- 튼살 크림 & 보습 크림 (피부 건조 방지)
그리고 조리원에서 마사지 받는것이 필수인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지만, 필수는 아니고, 모두가 하기 때문에 나도 해야하는 분위기에 휩쓸려 몇 회씩 끊는 경우도 있는데, 나 같은 경우에는 첫 아이의 경우 조리원에 9박 10일정도 있었고, 처음부터 마사지는 3~5회정도만 받을 생각이었다(많이 붓지도 않았었다). 그리고 케바케겠지만, 조리원 퇴소 후 산후 출장마사지를 집으로 불러 받는 경우가 더 편하고 좋았다는 분들도 있기 때문에 조리원에서 몇 회 받아보고 더 받으면 너무 좋겠다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추후에 추가로 하는걸 추천! (금액면에서도 산후 출장마사지가 더 저렴한 경우도 많음!)
2. 신생아 돌봄 용품
- 배냇저고리 & 속싸개 (조리원 제공 여부 확인 후 추가 준비)
- 젖병 & 젖병 세척 도구 (혼합 수유 시 필요)
- 수유 쿠션 (모유 수유 시 자세 유지에 도움)
- 아기 손톱가위 & 신생아용 로션 (개인 사용 가능하도록 준비)
3. 개인 위생 및 편의 용품
- 세면도구 & 수건 (조리원에서 제공되는 경우 제외 가능)
- 스킨케어 제품 & 최소한의 화장품
- 수면 안대 & 귀마개 (조용한 환경 조성)
- 텀블러 또는 빨대 컵 (수분 섭취용)
- 출산 후 영양제 (철분제, 오메가3, 유산균 등)
4. 기타 챙기면 좋은 물품
- 휴대용 가습기 (방이 건조할 경우 대비)
- 조리원 동기들과 소통할 노트 또는 다이어리
- 편한 실내화
🎯 출산 가방 & 산후조리원 준비 TIP
✔ 짐은 가볍게! 병원과 조리원에서 제공하는 물품을 미리 확인하고 최소한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 입원 가방과 조리원 가방을 따로 준비! 출산 후 남편이나 가족이 조리원 가방을 가져오도록 하면 짐을 덜 수 있다.
✔ 조리원에서도 빠진 물품은 구매 가능! 꼭 필요한 것만 챙기고, 부족한 물품은 조리원에서 추가할 수 있다.
출산 가방과 조리원 준비물까지 꼼꼼하게 챙겨두면 더욱 편안한 출산과 회복이 가능하다. 남은 기간 동안 건강을 잘 관리하며 출산을 준비하길 바란다. 😊💖
'육아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연구소] 유도분만 예정이라면 꼭 알아야 할 6가지 필수 정보! (0) | 2025.03.25 |
---|---|
[육아연구소]슬슬 조짐이? 진통 vs 가진통 구별법 (0) | 2025.03.21 |
[육아연구소]임신 36주 차 증상 & 변화: 출산을 앞둔 내 몸과 마음 (2) | 2025.03.19 |
[육아연구소] 만삭 임산부의 하루 루틴 및 건강관리 노하우 (0) | 2025.03.12 |
[육아연구소] 드디어 워킹맘에서 전업맘(당분간)이 되었다 (4) | 2025.03.11 |